헨드릭 페르부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헨드릭 페르부르트는 네덜란드에서 태어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성장한 인물로, 스텔렌보쉬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독일에서 유학했다. 1948년 국민당이 집권한 후 원주민 문제 담당 장관을 거쳐 1958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총리가 되었으며,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추진했다. 그는 흑인 교육을 제한하고, 국토를 백인과 흑인 지역으로 분리하는 등 인종차별 정책을 강화하여 국제적인 비판을 받았다. 1966년 암살당했으며, 그의 유산은 오늘날까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암살된 정치인 - 스티브 비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반 아파르트헤이트 운동가이자 흑인 의식 운동의 중심 인물인 스티브 비코는 흑인 중심의 반 아파르트헤이트 운동을 이끌며 흑인의 정치적, 사회적, 심리적 자각을 촉구했지만, 아파르트헤이트 정부에 의해 체포되어 고문으로 사망하여 국제적인 공분을 일으키고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암살된 정치인 - 루스 퍼스트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반 아파르트헤이트 운동가이자 작가, 언론인이었던 루스 퍼스트는 공산당원으로서 아파르트헤이트에 저항하고 '가디언'지 편집장으로 활동하며 아파르트헤이트의 부당함을 폭로했으나, 망명 중 모잠비크에서 암살당했다. - 1966년 살인 사건 - 막시밀리아노 에르난데스 마르티네스
막시밀리아노 에르난데스 마르티네스는 1931년 쿠데타로 집권하여 1944년까지 엘살바도르를 통치한 군인이자 독재자로, 1932년 농민 봉기를 무자비하게 진압하고 경제 안정과 인프라 구축에 힘썼으나, 파시즘에 경도되고 소수 민족을 차별하는 정책을 펼쳤다. - 1966년 살인 사건 - 존슨 아그이이론시
존슨 아그이이론시는 나이지리아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66년 쿠데타로 정권을 잡았으나 같은 해 쿠데타로 암살당했으며, 나이지리아 육군 최초의 원주민 출신 사령관으로서 중앙 집권적인 통치를 시도했지만 민족 갈등을 심화시켜 비판을 받았고 그의 죽음은 비아프라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헨드릭 페르부르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헨드릭 프렌슈 페르부르트 |
출생일 | 1901년 9월 8일 |
출생지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사망일 | 1966년 9월 6일 |
사망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
사망 원인 | 암살 (칼에 찔림) |
안장 장소 | 프리토리아 영웅 묘역 |
국적 | 남아프리카 공화국 네덜란드 (1903년까지) |
정당 | 국민당 |
배우자 | 베치 스콤비 (1927년 1월 7일 결혼) |
자녀 | 7명 |
모교 | 라이프치히 대학교 베를린 대학교 함부르크 대학교 스텔렌보스 대학교 |
직업 | 교수, 정치인, 신문 편집인 |
![]() | |
직책 | |
제6대 남아프리카 연방 총리 | 재임 시작: 1958년 9월 2일 재임 종료: 1961년 5월 31일 군주: 엘리자베스 2세 전임: 요하네스 스트레이돔 후임: 에벤 되에스 (대행), 요하네스 포르스터 |
초대 남아프리카 공화국 총리 | 재임 시작: 1961년 5월 31일 재임 종료: 1966년 9월 6일 대통령: 찰스 로버츠 스와르트 전임: 요하네스 스트레이돔 후임: 에벤 되에스 (대행), 요하네스 포르스터 |
남아프리카 연방 원주민 담당부 장관 | 재임 시작: 1950년 10월 19일 재임 종료: 1958년 9월 3일 총리: 다니엘 프랑수아 말란, 요하네스 스트레이돔 전임: 어니스트 조지 얀센 후임: 미셸 D. C. 드 웻 넬 |
기타 | |
종교 | 네덜란드 개혁 교회 |
2. 어린 시절
헨드릭 페르부르트는 1901년 9월 8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태어났다. 그는 안예 헨드릭스 스트리크와 빌헬무스 요하네스 페르부르트 사이에서 태어난 두 번째 자녀였다.[9] 그의 아버지는 상인이자 독실한 종교인이었으며, 보어 전쟁 이후 아프리카너 민족에 대한 동정심으로 1903년 가족을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이주하기로 결정했다.[9] 페르부르트는 케이프타운 와인버그의 루터교 초등학교에 다녔다.[10]
1928년 페르부르트는 아내와 함께 남아프리카로 돌아와 스텔렌보스 대학교에서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6년 뒤에는 사회학과 교수가 되었다.[18] 대공황 기간 동안, 페르부르트는 가난한 백인 남아프리카인들을 위한 사회복지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8] 그는 복지 사업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고 복지 단체의 자문을 자주 받았으며, 수많은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1948년 총선에서 남아프리카 국민당이 승리하고 다니엘 말란이 수상으로 임명되었다.[20] 페르부르트는 1950년에 원주민 문제 담당 장관으로 임명되어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추진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20]
다니엘 말란이 1953년에 정계 은퇴를 선언한후,1954년에 은퇴하고 뒤를 이은 J.G. 스트레이돔이 수상이 된지 2달만에 병으로 급사하였다.이후에 아프리카너들의 지지를 받은 페르부르트가 어런스트 얀센에 의해 수상으로 지명되었다.
헨드릭 페르부르트는 원주민 문제 담당 장관과 수상을 지내면서 아파르트헤이트를 "흑인과 백인 간의 좋은 이웃 관계"를 위한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인종차별적인 억압 정책이었다. 아프리카너 민족주의는 모든 정부 정책에 스며들어 있었고, 남아프리카의 경제 성장은 영국에서 멀어지자는 주장에 일조하였다. 페르부르트는 영국에 대한 종속 관계를 참을 수 없는 치욕적인 관계라고 하였다.
1948년 이후 집권 국민당의 장기 목표는 남아프리카 연방을 공화국으로 전환하는 것이었다. 1960년 1월, 페르부르트는 이 문제를 국민 투표로 결정하겠다고 발표했다. 2주 후, 해럴드 맥밀런 영국 총리가 남아프리카를 방문하여 아파르트헤이트를 비판하는 변화의 바람 연설을 했다. 페르부르트는 이 연설과 샤프빌 학살 이후 국제사회의 비판을 역이용하여 공화국 수립 주장을 강화했다.
1960년 4월 9일, 헨드릭 페르부르트는 비트바테르즈란트에서 열린 남아프리카 연방 건국 50주년 기념 연방 박람회 개막식에서 연설하던 도중 암살 미수 사건을 겪었다.[40] 나탈 출신의 백인 농부 데이비드 프랫은 .22 오토매틱 권총으로 페르부르트에게 두 발을 쏘았는데, 한 발은 오른쪽 뺨을, 다른 한 발은 오른쪽 귀를 스쳐 지나갔다.[40]
1966년 총선에서 페르부르트가 이끄는 국민당은 다시 승리하였다.[49] 집권 2기에 페르부르트의 국민당은 군수공업을 확장하여 자국산 항공기, 소화기, 장갑차를 생산하고, 핵무기와 생물무기도 개발하려고 하였다.[49] 페르부르트는 암살당하기 3일 전, 레소토의 총리 레아부아 조나단과 프리토리아의 연합청사(Union Buildings)에서 회담을 가졌고, 양국은 여러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결정하였다.[50]
헨드릭 페르부르트는 아파르트헤이트의 설계자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의 정책은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국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24] 그는 1958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총리가 된 후, 흑인의 권리를 박탈하는 법안을 잇달아 제정했다.[24] 1959년에는 반투 자치 촉진법을 제정하여 국토를 백인 지역(87%)과 흑인 지역(13%)으로 나누고, 흑인은 각 민족별 반투스탄에 속하게 했다. 이는 흑인에게 매우 작고 척박한 땅만 할당하고, 백인이 국토의 중요 부분을 독점하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아파르트헤이트는 1960년 이후 "분리 발전"이라고 불렸지만, 실제로는 백인이 흑인과 컬러드를 차별하고 착취하는 정책이었다.[24]
[1]
서적
Report of the Commission of Enquiry into the Circumstances of the Death of the Late Dr. The Honourable Hendrik Frensch Verwoerd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er, South Africa
1966-01-22
1912년 말, 페르부르트 가족은 로디지아의 부라와요로 이사했고, 그의 아버지는 네덜란드 개혁 교회의 조수 전도사가 되었다. 페르부르트는 밀턴 고등학교에 다녔으며, 다이아몬드 거물이자 금융가인 알프레드 베이트가 설립한 베이트 장학금을 받았다.[11]
1917년, 가족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돌아왔다. 그의 아버지는 오렌지 자유주의 브랜드포트(Brandfort) 교회에서 일자리를 얻었다. 전 세계적인 스페인 독감 유행으로 인해 젊은 베르뵈르트는 1919년 2월에야 졸업 시험을 치렀고, 오렌지 자유주에서 1등, 전국 5등을 차지했다.[12]
페르부르트는 스텔렌보쉬 대학교에서 사회학, 심리학, 철학에서 우등으로 B.A.를 취득한 후 석사 학위를 우등으로 마쳤다. 그런 다음 1925년 스텔렌보쉬 대학교에서 심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1] 그의 300페이지가 넘는 박사 학위 논문 "Die Afstomping van die Gemoedsaandoeninge"(아프리칸스어: 감정의 마비)는 당시 남아프리카 공화국 응용 심리학 분야에서 획기적인 학문적 성과로 여겨졌다.
해외 박사후 연구를 위한 두 개의 장학금을 받았지만, 그는 당시의 여러 저명한 독일 심리학 및 철학 교수들 밑에서 연구를 계속하고 싶어했고, 아마도 당시 자신의 반영국적인 견해 때문에 독일 유학을 선택했다. 1926년 독일로 떠나 함부르크 대학교, 베를린, 라이프치히에서 심리학과 사회학을 연구했다.[13][14] 함부르크에서는 윌리엄 슈테른 밑에서, 베를린에서는 볼프강 쾰러와 오토 립만 밑에서, 라이프치히에서는 펠릭스 크뤼거 밑에서 공부했다. 크리스토프 마르크(Christoph Marx)는 베르뵈르트가 우생학 이론과 인종차별적인 사회 기술과 눈에 띄게 거리를 두고, 유전 능력보다는 환경적 영향을 강조했다고 주장한다.[15]
1927년 1월 7일 함부르크에서 베트시 스코옴비와 결혼하였다. 그해 후반, 그는 영국에서 계속 공부를 했고, 그 후 미국으로 갔다. 스텔렌보쉬 대학교에서 그의 강의 노트와 메모는 큰 인종 집단 사이에는 생물학적 차이가 없다는 것을 강조했고, "이는 코카소이드에 의한 더 높은 사회 문명의 발전에 실제로 요소가 아니었다"고 결론지었다.[16]
3. 남아프리카로의 귀환
1936년 베르보에르트는 스텔렌보스 대학교 교수들과 함께 나치의 박해를 피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이주하는 독일 유대인들의 이민에 항의했다.[19] 1937년, 페르부르트는 ''디 트란스발러(Die Transvaler)''의 초대 편집장을 맡아 트란스발에서 국민당 재건을 도왔다.[19] ''디 트란스발러''는 아프리카너 민족주의를 지지하는 출판물이었다.[20]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페르부르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영국과 같은 편에 서서 전쟁을 선포한 것에 대해 항의했다.[21]
4. 남아프리카 정부에서의 활동
페르부르트가 원주민 담당 장관으로서 추진한 주요 법률에는 1950년의 인구등록법과 집단거주지역법, 1952년의 통행증법, 1953년의 별도 편의시설 예약법 등이 있다. 특히 1953년에 제정된 반투 교육법은 흑인들의 교육 기회를 제한하여, 흑인들을 저렴한 비숙련 노동력으로 고착시키려는 의도를 담고 있었다.[24] 페르부르트는 "반투족은 모든 면에서 자신의 공동체에 봉사하도록 인도되어야 합니다. 특정 형태의 노동을 제외하고는 유럽 공동체에서 그들의 자리는 없습니다. 그러나 자신의 공동체 내에서는 모든 문이 열려 있습니다."라고 언급하며, 흑인 교육의 목표를 제한적인 수준으로 설정했다.[24]
1954년에 말란이 은퇴하고 뒤를 이은 요하네스 스트레이덤이 사망하자, 1958년에 페르부르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총리가 되었다. 그는 백인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흑인의 권리를 박탈하는 법안을 계속해서 제정했다. 1959년에는 반투 자치 촉진법을 제정하여 국토를 백인 지역(87%)과 흑인 지역(13%)으로 나누고, 흑인을 각 민족별 반투스탄에 속하게 했다. 이는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흑인에게 매우 작고 척박한 땅만 할당하고, 백인이 국토의 중요 부분을 독점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1960년 3월 21일, 샤프빌 학살 사건이 발생하자 페르부르트는 정부군을 투입하여 진압하고, 아프리카 민족 회의(ANC)와 범아프리카주의자 회의(PAC)를 불법화했다. 아파르트헤이트 강행으로 사회 불안이 심화되면서 페르부르트 정권은 경찰 국가적인 양상을 강화했다. 1963년에는 재판 없이 90일 연속 구금할 수 있도록 되었고, 1965년에는 출소자를 치안상의 이유로 구금할 수 있는 정부의 권한이 갱신되었다.
국제연합은 1955년에 아파르트헤이트를 의제로 다루었고, 이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국제연합 참여는 명목상에 불과했다. 1960년부터는 올림픽 참가도 거부당했다. 샤프빌 학살 사건을 계기로 종주국인 영국으로부터도 강한 비판을 받자, 페르부르트는 국민 투표를 실시하여 남아프리카공화국을 공화제로 변경하고 1961년에 영국 연방을 탈퇴했다.
페르부르트는 강력한 반공주의자였으며, 냉전하의 서방 국가들은 남아프리카와의 경제 관계를 끊을 수 없었고, 이 시기에 남아프리카 경제는 서방의 투자로 발전했다. 백인 노동자의 생활 수준은 향상되었고, 의회도 자유로운 상태였다. 따라서 백인 유권자로부터 강력한 지지를 받은 국민당은 의회 선거에서 계속 승리했고, 페르부르트는 1961년과 1966년에 총리에 재선되었다.
1966년 9월 6일, 페르부르트는 케이프타운에서 하원 의회에 참석했을 때, 백인 반 아파르트헤이트주의자인 그리스 출신의 경비원 디미트리오스 차펜다스(Dimitri Tsafendas)에게 암살당했다.
5. 수상 당선
6.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페르부르트는 여러 아파르트헤이트 관련 법안을 제정했는데, 대표적으로 흑인 자치 정부 촉진법(1959년)은 홈랜드 또는 반투스탄이라고 불리는 흑인 집단 거주지를 남아공에서 분리된 독립 국가로 만들고, 흑인들에게 해당 홈랜드 안에서 투표권을 부여한다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홈랜드가 사실상 독립한 후에도 경제적 자립이 불가능했기에 남아공 정부는 강한 영향을 미쳤고, 국제사회는 홈랜드의 독립을 남아공에 의한 인종차별적 괴뢰국으로 보고 인정하지 않았다. 이외에도 홈랜드 내부에 고용을 창출하기 위한 반투 투자 법인법, 대학을 인종 집단별로 분리시킨 대학교육 확장법, 유색인 거주 지구법 등이 있었다.
1954년 말란이 은퇴하고 뒤를 이은 요하네스 스트레이덤이 사망하자, 1958년에 페르부르트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총리가 되었다. 그는 백인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흑인의 권리를 박탈하는 법안을 잇달아 제정했다. 1959년에는 반투 자치 촉진법을 제정하여 국토를 백인 지역(87%)과 흑인 지역(13%)으로 나누고, 흑인은 각 민족별 반투스탄에 속하게 했다.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흑인에게는 매우 작고 척박한 땅만 할당되었고, 백인이 국토의 중요 부분을 독점했다. 아파르트헤이트는 1960년 이후 "분리 발전"이라고 불리게 되었는데, 백인과 흑인이 분리되어 각각 발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지만, 실제로는 백인이 흑인과 유색인을 차별하고 착취하는 것이었다. 또한 1952년에 시행된 통행증 법을 더욱 강화했다. 이에 대해 흑인 합법 정당인 아프리카 민족회의(ANC)와 범아프리카주의자 회의(PAC) 두 정당은 비판을 강화해 나갔다.
1960년 3월 21일, ANC와 PAC의 통행증 법 항의 집회가 폭동으로 번져 샤프빌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 페르부르트는 정부군을 투입하여 이를 진압하고, 폭동의 책임을 ANC와 PAC 양당에 돌려 이들을 불법화했다.
아파르트헤이트 강행으로 사회 불안이 심화되면서 페르부르트 정권은 경찰 국가적인 양상을 강화했다. 1963년에는 재판 없이 90일 연속 구금할 수 있도록 되었고, 1965년에는 출소자를 치안상의 이유로 구금할 수 있는 정부의 권한이 갱신되었다.
국제연합은 1955년에 아파르트헤이트를 의제로 다루었고, 이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국제연합 참여는 명목상에 불과했다. 1960년부터는 올림픽 참가도 거부당했다. 샤프빌 학살 사건을 계기로 종주국인 영국으로부터도 강한 비판을 받자, 페르부르트는 국민 투표를 실시하여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영국 여왕의 통치를 받는 입헌군주제에서 대통령을 국가원수로 하는 공화제로 정체를 변경했다. 이에 영국 연방 가맹국들로부터 연방 참여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자, 남아프리카공화국은 1961년에 영국 연방을 탈퇴했다.
한편 페르부르트는 강력한 반공주의자였으며, 남아프리카를 반공의 보루로 여겼다. 따라서 냉전하의 서방 국가들은 남아프리카와의 경제 관계를 끊을 수 없었고, 이 시기에 남아프리카 경제는 서방의 투자로 발전했다. 백인 노동자의 생활 수준은 향상되었고, 의회도 자유로운 상태였다. 따라서 백인 유권자로부터 강력한 지지를 받은 국민당은 의회 선거에서 계속 승리했고, 페르부르트는 1961년과 1966년에 총리에 재선되었다.
7. 공화국으로의 체제 변경
페르부르트는 공화국 지지표를 확보하기 위해 투표 연령을 21세에서 18세로 낮추고, 남서아프리카 백인에게도 투표권을 부여했다. 또한, 1960년 여름 벨기에로부터 독립한 콩고의 혼란상을 적극 보도하여 아파르트헤이트 폐지 시 남아프리카도 콩고와 같은 혼란에 빠질 것이라고 주장하며 영국에 대한 반감을 부추겼다.
196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민투표 결과, 52%의 찬성으로 공화국 전환이 결정되었다. 1961년 3월 런던에서 열린 1961년 영연방 총리 회의에서 인도와 캐나다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종차별 정책을 비판하자, 페르부르트는 영연방 재가입 신청을 철회하고 회의장을 떠났다.
1961년 5월 31일, 제2차 보어 전쟁을 종식시킨 베레니히닝 조약 체결일이자 남아프리카 연방 수립 기념일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출범했다. 마지막 남아프리카 연방 총독이었던 찰스 로버츠 스와르트가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영연방에서 탈퇴했으며, 페르부르트는 영연방 회원국의 흑인 대사 파견을 거부했다.
8. 암살 미수 사건
G.M.해리슨 대령이 프랫을 제압하였고, 그는 페르부르트 정부의 농업 개혁 정책에 불만을 품고 범행을 저질렀다고 진술했다. 프랫은 자신이 '아파르트헤이트의 전형'을 쏘았다고 주장했다.[43] 그러나 변론에서 그는 페르보에르트를 죽이려는 것이 아니라 다치게 하려고만 했다고 진술했다. 법원은 5명의 정신과 의사가 제출한 의료 보고서를 받아들였는데, 이 보고서들은 모두 프랫이 법적 책임 능력이 없으며 총리에게 총을 쏜 것에 대해 형사 책임을 질 수 없다고 확인했다.
프랫은 정신병 판정을 받고 블룸폰테인 정신병원에 수감되었으나, 1961년 10월 1일, 53세 생일에 가석방 심사를 앞두고 목을 매어 자살했다.[43]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의 많은 자살 사건이 실제로 경찰에 의한 살인과 살해였기 때문에 그의 사망 원인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44]
페르부르트는 암살 시도 후에도 의식이 있었고, 급히 프리토리아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2일 뒤 회복되기 시작했고, 5월 29일경에는 다시 일상적인 삶으로 되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40]
9. 1966년 재선과 암살
1966년 9월 6일, 케이프타운의 의회에서 페르부르트는 암살당했다.[51] 의회 연락원이었던 드미트리 차펜다스는 페르부르트의 목과 가슴을 칼로 네 번 찔렀고,[51] 현장에서 다른 의원들에게 제압당했다.[51] 의사 출신 의원들이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고[52] 페르부르트를 그루테 슈어 병원으로 이송했으나, 도착 시 사망 선고를 받았다.[52]
드미트리 차펜다스는 경찰 심문에서 페르부르트의 "사라짐" 이후 "정책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는 희망으로 행동을 저질렀다고 진술했다.[56] 그는 "나는 모든 남아프리카 사람들을 대표하는 정부를 보고 싶었습니다. ...인종 정책에 너무나 혐오감을 느껴 총리 암살 계획을 실행했습니다."라고 덧붙였다.[56] 남아프리카 경찰은 차펜다스가 남아프리카 공산당 당원으로 활동하고, 그리스 내전에 참전하는 등 오랜 정치 활동을 해왔음을 밝혀냈다.[56] 그러나 차펜다스는 정신 이상을 이유로 사형을 면하고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44]
1966년 9월 10일 프리토리아에서 거행된 페르부르트의 국장에는 25만 명이 참석했다.[53] 그의 관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로 덮여 있었고, 영웅광장에 안장되었다.[54] 페르부르트가 암살당한 후 피가 묻은 카펫은 2004년까지 의회에 남아있었다.[55]
미국과 영국 정부 등 서방세계에서는 조의를 표했지만, 소비에트 연방에서는 특별한 논평 없이 페르부르트의 사망을 보도하였다. 아프리카 각국에서는 그의 죽음을 대체로 환영하였다. 케냐에서는 신문 1면에 페르부르트를 인종차별의 원흉이라고 서술했고, 나이지리아 라고스 시민들은 거리로 뛰쳐나와 할렐루야를 외쳤으며, 이집트 카이로 방송은 인종차별 지도자가 제거되었다고 발표하였다.
10. 유산
페르부르트의 정책은 국내외적으로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1960년 샤프빌 학살 사건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는 아프리카 민족 의회(ANC)와 범아프리카주의자 회의(PAC)를 불법화하고, 사회 불안을 억압하기 위해 경찰 국가적인 통치를 강화했다. 국제 연합은 1955년부터 아파르트헤이트를 의제로 다루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960년부터 올림픽 참가를 거부당했다. 1961년에는 영국 연방을 탈퇴했다.
페르부르트의 이름을 딴 시설과 지명은 아파르트헤이트 이후 대부분 변경되었다.[59] 예를 들어, 포트엘리자베스의 H. F. 페르보에르트 공항은 포트엘리자베스 공항으로, 프레토리아의 H. F. 페르보에르트 대학병원은 스티브 비코 병원으로 개명되었다. 페르보에르트부르크는 센추리온으로 개명되었다.[59]
오늘날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페르부르트의 유산은 논란의 대상이다. 흑인 남아프리카인들에게 그는 악의 화신이자 아파르트헤이트의 상징으로 여겨진다.[24] 1995년 넬슨 만델라는 오라니아에 있는 베트시 페르보에르트를 방문하기도 했다.[58] 2008년 가우텡주 메이어턴에 있던 헨드릭 페르보에르트 흉상은 2011년에 철거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페르부르트를 인종차별주의자로 규정하며, 그의 정책은 강한 비판의 대상이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등 진보 진영에서는 그의 유산을 청산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한다.
참조
[2]
서적
Verwoerd: Architect of Apartheid
https://books.google[...]
Jonathan Ball Publishers
2016
[3]
서적
Evil, Law and the State: Perspectives on State Power and Violence
Rodopi
[4]
웹사이트
Apartheid: "A Policy of Good Neighborliness"
https://fabryhistory[...]
2015-05-11
[5]
웹사이트
Commanding Heights: South Africa on PBS
https://www.pbs.org/[...]
2023-09-01
[6]
백과사전
Hendrik Verwoerd prime minister of South Africa
https://www.britanni[...]
2017-07-07
[7]
뉴스
Obituary: Long-jailed assassin of South African premier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1999-10-11
[8]
웹사이트
South Africa: Overcoming Apartheid
http://overcomingapa[...]
2017-07-07
[9]
웹사이트
24 Hours Special – Verwoerd Assassination
https://www.bbc.co.u[...]
2021-06-18
[10]
서적
This was a Man
Human & Rousseau
[11]
서적
This was a Man
[12]
서적
Dictionary of South African Biography
Butterworth
[13]
서적
Evil, law and the state
Inter-disciplinary Press
[14]
서적
The Rise of Afrikanerdom: Power, Apartheid and the Afrikaner Civil Relig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5]
서적
Racism in the Modern World
Berghahn Books
[16]
서적
A Concise Dictionary of South African Biography
Francolin
[17]
웹사이트
Hendrik Frensch Verwoerd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https://www.sahistor[...]
2024-01-12
[18]
서적
The Fighting Never Stopped
Vintage Books
[19]
서적
Rise of the South African Reich
Penguin Books
[20]
서적
Heads of States and Governments
https://archive.org/[...]
McFarland & Company, Inc.
[21]
서적
Fault lines: journeys into the new South Afri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2]
서적
Hayek: A Collaborative Biography: Part II, Austria, America and the Rise of Hitler, 1899–1933
Palgrave Macmillan
[23]
잡지
SOUTH AFRICA: God's Man
https://content.time[...]
1958-09-15
[24]
웹사이트
How Should South Africa Remember the Architect of Apartheid?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2016-09-14
[25]
서적
Performing South Africa's Truth Commission: Stages of Transi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26]
서적
Encyclopedia of the Developing World
Routledge/Taylor & Francis
[27]
서적
History after Apartheid: Visual Culture and Public Memory in a Democratic South Africa
Duke University Press
[28]
웹사이트
Culture, Communication and Media Studies – Freedom Square – Back to the Future
http://ccms.ukzn.ac.[...]
Ccms.ukzn.ac.za
2009-12-16
[29]
Youtube
Hendrik Verwoerd Defines Apartheid
https://www.youtube.[...]
2023-03-22
[30]
서적
State, Civil Society and Apartheid in South Africa: An Examination of Dutch Reformed Church-State Relation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31]
뉴스
Verwoerd and his policies appalled me
https://www.news24.c[...]
2015-05-12
[32]
웹사이트
Remembering Verwoerd –Opinion Politicsweb
http://www.politicsw[...]
2016-09-06
[33]
뉴스
Afrikaner domination died with Verwoerd 50 years ago
https://www.news24.c[...]
2016-09-06
[34]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35]
웹사이트
Apartheid Legislation in South Africa
https://web.archive.[...]
Africanhistory.about.com
2012-04-13
[36]
서적
The Fighting Never Stopped
Vintage Books
[37]
서적
The Fighting Never Stopped
Vintage Books
[38]
서적
Sanctions and honorary whites: diplomatic policies and economic realities in relations between Japan and South Africa
Greenwood Publishing Group
[39]
잡지
His Cherubic Smile Seemed To Say, 'It's All So Simple'
1966-10-03
[40]
서적
Bird on a wing
[41]
뉴스
Verwoerd knew of threats but did not withdraw
1960-04-11
[42]
뉴스
Aanslag: Nuwe stap met gearresteerde. Aangehou kragtens noodmaatreëls. Was nie in hof; No news of Pratt in court; Verwoerd saved from ordeal at the Pratt inquiry – 8 subpoenaed
1960-04-11, 1960-07-10
[43]
서적
A life at law: The memoirs of I.A. Maisels, QC
[44]
서적
The man who killed apartheid: the life of Dimitri Tsafendas
Jacana Media
[45]
뉴스
UN Chief Faces Apartheid Snag; Hammarskjöld Says He Got No Accord on Race Policies During South Africa Trip
https://www.nytimes.[...]
1961-01-24
[46]
간행물
Special report of the Director-General on the application of the Declaration concerning the policy of "apartheid"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Volumes 17–22
International Labour Office
[47]
서적
South Africa: no turning back
Indiana University Press
[48]
웹사이트
The Long Road to Durban – The United Nations Role in Fighting Racism and Racial Discrimination
https://www.un.org/P[...]
[49]
서적
Twentieth-century South Africa
Oxford University Press
[50]
간행물
Lesotho clippings
Documentation and Publications Division, Institute of Southern African Studies, National University of Lesotho
[51]
서적
Fault lines: journeys into the new South Afri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2]
서적
The politics of assassination
Prentice-Hall
[53]
잡지
South Africa: Death to the Architect
https://content.time[...]
1966-09-16
[54]
서적
[55]
뉴스
Verwoerd carpet replaced
https://www.news24.c[...]
2004-07-28
[56]
서적
The Man Who Killed Apartheid: The Life of Dimitri Tsafendas
Jacana Media
[57]
뉴스
Betsie Verwoerd, Apartheid Ruler's Wife, 98
https://www.nytimes.[...]
[58]
뉴스
Beloved Country Repays Mandela in Kind
https://www.nytimes.[...]
1999-03-23
[59]
웹사이트
How Should South Africa Remember the Architect of Apartheid?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2016-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